🎨 색상 이론 & 타이포그래피 완전 정복!
디자인의 근간, 색과 글자체를 제대로 이해하는 길
디자인에서 색과 폰트는 진짜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런데 실제로 조합하려면 막막해죠..
이번 글에선 색상 이론과 타이포그래피 종류를 더 깊이 있게 풀어드릴게요. 디테일까지 챙기면 여러분도 금방 전문가처럼 보이거든요! 💪
목차
1. 색상 이론 — 색 조합의 과학
색상 이론은 단순히 ‘예쁜 색’을 고르는 게 아니라, 색의 관계와 심리적 효과를 이해하는 학문이에요.
색상환(color Wheel)은 기본색(빨강, 파랑, 노랑), 2차·3차색으로 나뉘며, 보색·유사색·삼원색 조합이 대표적이죠.
보색은 반대 방향 색상으로 강조 효과가 크고, 유사색은 안정적 조화를 주며, 삼원색 조합은 강한 대비와 활기 있는 분위기를 만듭니다.
색상 이론을 이해하면 단순히 ‘예쁜 색’을 넘어서, 브랜드 이미지와 메시지를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어요.
2. 색의 핵심 요소 — 채도·명도·색조 변형
색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는 크게 세 가지입니다. 이 요소들을 이해하면 색의 느낌과 효과를 더 잘 조절할 수 있어요.
- • 채도(Saturation): 색의 선명함, 높을수록 생동감 있지만 자극적일 수 있어요.
- • 명도(Brightness): 밝기, 높을수록 경쾌하고 낮을수록 고급스러운 느낌이 강해집니다.
- • 색조 변형(color Variations): Tint(흰색), Shade(검정), Tone(회색)으로 감정 표현을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어요.
-
– Tint: 순색 + 흰색 → 파스텔 계열
– Shade: 순색 + 검정 → 톤다운 색감
– Tone: 순색 + 회색 → 중간 밝기의 부드러운 색
이 요소들을 조합하면 정말 다양한 색감을 만들어낼 수 있어요—“채도 높은 어두운 색”은 고급스럽고 중후한 분위기를, “채도 낮고 명도 높은 색”은 부드럽고 경쾌한 느낌을 줍니다.이 요소들을 조합하면 정말 다양한 색감을 만들어낼 수 있어요—“채도 높은 어두운 색”은 고급스럽고 중후한 분위기를, “채도 낮고 명도 높은 색”은 부드럽고 경쾌한 느낌을 줍니다.
3. 색상 체계 & 모델 분석
디자인 툴에서 자주 만나는 모델들 입니다.
- • RGB / RGBA: 웹·UI 디자인의 기초
- • HSB / HSV / HSL: 색조·채도·명도를 직관적으로 조작 가능
- • HEX 코드: 웹에서 복사 붙여넣기 편한 16진수 표시
색상 이론을 이해하면 단순히 “예쁜 색”을 넘어서, 브랜드 이미지와 메시지를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어요.
4. 타이포그래피 기본 분류
타이포그래피는 서체의 분위기를 구분하는 기준이에요. 크게 세리프, 산세리프, 스크립트, 모노스페이스, 디스플레이, 블랙레터 등이 있습니다.
- • Serif (세리프체)
- • Sans‑Serif (산세리프체)
- • Script (필기체/캘리그래피)
- • Monospaced (등폭 글꼴)
- • Display (장식체)
- • Blackletter (흑자체/고풍서체)
각 서체는 특정한 느낌과 분위기를 전달합니다. 예를 들어, 세리프체는 전통적이고 신뢰감을 주며, 산세리프체는 현대적이고 깔끔한 인상을 줍니다. 스크립트체는 감성적이고 개인적인 터치를, 모노스페이스는 기술적이고 정밀한 느낌을 줍니다.
5. 세리프 계열의 세부 유형
세리프체는 글자의 끝에 장식이 있는 서체로, 전통적이고 신뢰감을 주는 특징이 있습니다. 세리프체는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 lid‑Style: 낭만적 고전미, 가독성 우수 (예: Garamond, Bembo)
- • Transitional: 대비와 명확성 중간 단계 (예: Baskerville, Times New Roman)
- • Modern: 극단적 대비 + 수직 획, 고급 감성 (예: Bodoni, Didot)
- • Slab Serif: 각지고 두터운 획, 인상적 디스플레이용 (예: Rockwell, Clarendon)
세리프체는 인쇄물에서 특히 가독성이 높아, 책이나 신문 등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각 유형은 디자인의 목적과 분위기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Modern 세리프체는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며, Slab Serif는 강렬하고 인상적인 효과를 줍니다.
6. 산세리프 분류와 특징
산세리프체는 세리프가 없는 깔끔한 서체로, 현대적이고 직관적인 느낌을 주며, 보통 본문이나 UI에서 많이 사용돼요. 산세리프체는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 Grotesque: 초기 산세리프, 다소 무게감 (예: Franklin Gothic)
- • Neo‑Grotesque: 깔끔하고 중립적인 형태 (예: Helvetica, Univers)
- • Geometric: 도형 기반, 모던+차가운 느낌 (예: Futura)
- • Humanist: 필기체 요소 포함, 부드럽고 따뜻한 인상 (예: Gill Sans, Verdana)
산세리프체는 가독성이 높고, 디지털 환경에서 특히 많이 사용됩니다. 각 유형은 디자인의 목적과 분위기에 따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Neo-Grotesque는 현대적이고 깔끔한 느낌을 주며, Geometric은 모던하고 차가운 인상을 줍니다.
7. 기타 서체 종류 — 스크립트, 디스플레이 등
기타 서체는 특정한 목적이나 감성을 위해 사용됩니다. 각 서체의 특징을 이해하면 디자인에 더 깊이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 • Script (캘리그래피/손글씨체): 감성 표현용 필기체, 우아하고 개인적인 분위기, 제목/로고에 적합
- • Display (디스플레이/장식체): 제목용, 시선을 끌기 위한 디자인
- • Monospaced (등폭체): 코드, 표, 데이터 영역에 적합 (예: Courier, Conslias)
- • Blackletter: 전통적 고전 분위기, 세 필기 스타일, 전통적 과거지향 디자인에 활용
이 서체들은 특정한 감정이나 분위기를 전달하는 데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스크립트체는 감성적이고 개인적인 터치를, 디스플레이체는 강렬한 시각적 효과를 줍니다.
❓ FAQ ❓
- – 색상 조합이 어려운 초보자에게 추천하는 방법은?
Canva나 Adobe color 같은 색상 조합 툴을 활용하면 직관적으로 배울 수 있어요. - – 타이포그래피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가독성과 일관성이 가장 중요해요. 글자의 크기, 간격, 정렬을 신경 써보세요. - – 세리프와 산세리프 중 본문에 더 적합한 글꼴은?
웹은 산세리프, 인쇄는 세리프가 가독성에서 유리해요. - – 스크립트 서체는 어디에 사용하나요?
로고나 인사장, 제목 등 감성 표현이 중요한 곳에 적합합니다. - – 색상과 폰트 조합 시 가장 중요한 점은?
가독성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면서, 메시지의 분위기와 조화를 맞추는 게 중요해요.
✨ 여러분들은 어떠신가요?
여러분이 가장 좋아하는 색상 조합이나 자주 사용하는 폰트는 무엇인가요?
디자인할 때 가장 고민되는 요소는 어떤 건지도 댓글로 남겨주세요! 함께 고민하고 나눠봐요 😊
🎈 다음 글에서는 “색상 팔레트 고르는 법: 실용 가이드”를 소개할 예정입니다!